반응형 백제2 공무원시험 한국사 요약정리 4. 고대국가 성립3 (고구려와 수당전쟁) 1. 고구려와 수. 당 전쟁 원인 +분열돼었던 중국이 수나라에 의해 통일 +고구려를 압박 +돌궐, 백제, 왜와 연합해 대응 *북방의 돌궐과 연합, 수나라의 요서지방 공격 +'수 문제' -수군+육군 30만 대군으로 고구려 공격 => 실패 +'수 양제' -요동성 포위 => 실패 -평양성 공격 => 실패 -별동대 30만 평양성 공격 => 을지문덕 장군의 유도작전에 압록강과 살수에서 전멸 (살수대첩) 결과 = 수차례 침략했지만 지나친 국력소모+내란으로 수나라 멸망. -> '당' 건국 2. 고구려와 당 관계 1. 초반: 유화 정책 추진 후반: 당 태종이 오르자 돌궐 제압, 서역 공격하며 고구려 압박 2. 고구려의 강경책: 부여성~남쪽 비사성 국경선에 천리장성 축조(영류왕 때 연개소문이 장성 축조 감독) 3. 연개.. 2022. 10. 28. 공무원시험 한국사 요약정리 4. 고대국가 성립 (고구려, 백제) 1. 고대국가 성립 (중앙집권) *발전단계 1.군장사회-왕이 비존재 2. 초기국가(연맹왕국)-왕이 존재, 권력은 미약 3. 중앙집권국가 - 율령반포, 왕위의 부자세습 권력 강력 특징 1. 왕권강화: 왕위 세습, 형제 상속에서 부자 상속제로 정착 2. 율령 반포: 엄격한 신분제도, 율령 반포(관등제와 간복제도 정비) +왕권강화+율령 반포=고대국가 성립요건 3. 정복활동: 영역 국가로 성장 4. 불교 수용: 국왕의 권위를 높이기 위해 수용 5. 관리, 군대 파견: 각 지방에 파견함으로 중앙집권 강화 *삼국 형성과정 고조선 - 멸망 -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고구려 고조선유이민+토착세력 - 삼한 - 마한-백제국-백제 진한-사로국- 신라 변한-구야 -가야 1. 고구려 (부여 유이민+압록강 토착민) (1).. 2022. 10. 2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