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사 요약정리12 공무원시험 한국사 요약정리6. 고려 귀족사회 형성과 발전1 (고려의 성립) 1. 고려의 성립 1. 신라 말기 정치상황 -진골 분열, 6두품 반정부 활동 (왕위 쟁탈전) => 지방세력 대두(호족, 해상 군진, 사원 세력, 초적 세력) => 선종 9 산 발달, 지리 도참설 유행 (반신라적 사상) = 신라 말기 골품제 기능 상실과 진골 귀족들의 왕위 쟁탈전+농민 수탈로 인한 민란 발생 => 호족세력 등장 - 호족유형 촌주세력: 토착 지방 세력이 주변 세력 모아 호족으로 성장 군진세력: 지방에 내려간 중앙귀족+6두품 해상세력: 해상 무역 독점하면서 호족화 (장보고, 왕건) 초적세력: 몰락한 농민 반독립적 세력 성장(궁예) 2. 후삼국 성립 후백제(900-936) -견훤이 완산주(전주)에 건국 -강력한 지방호족세력으로 군사적 우위 -신라에 적대적 -지나친 조세 수취로 인한 민심 박탈 -.. 2022. 11. 11. 공무원시험 한국사 요약정리5. 고대 국가의 문화발전3 (과학기술, 고대인의 자취와 멋) 1. 과학기술 1. 천문학 발달: 천체와 천문 현상에 관측을 중시 => 농작과 밀접한 관련 인식, 왕권을 하늘과 연결 2. 수학 발달: 고분 벽화나 천장 구조, 석굴암 등 건축에도 정밀한 수학적 지식이 이용 고구려: 별자리를 그린 천문도, (장천 1호분, 각저총) 백제: 역 박사를 두었다 신라: 선덕여왕 때 첨성대(현존 동양 최고의 천문 관측대) 통일신라: 당의 인덕력 수용, 누각 전 설치(시간 관측), 김암이 병학과 천문학을 담당하는 사천대 박사에 임명 3. 목판 인쇄술과 제지술 발달 - 불경을 대량인쇄 하기 위해 목판 인쇄술과 제지술 발달 - 무구정광대다라니경: 불국사 3층 석탑에서 발견,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 인쇄술 - 제지술 발달: 무구정광 대다라니경은 닥나무로 만든 것인데 현재까지 보존될 .. 2022. 11. 9. 공무원시험 한국사 요약정리 5. 고대 국가의 사회(남북국) 1. 남북국 시대 사회 통일신라 1. 단일 사회 2. 민족통합 노력 (혈연적 동질성+문화적 공통성) => 삼국 간 빈번한 전쟁으로 언어 풍습 복장 등 비슷 - 통일 과정에서 백제+고구려 지배층에 신라 관등을 주어서 유민들 포섭 - 9서당 편성 - 삼국통일 이후 왕권 매우 강화 신라중대: 신문왕 때 김흠돌의 난 진압 => 진골귀족 숙청 => 상대등 권한 약화, 집사부 시중 권한 강화 => 6두품 정치적 진출(국왕 정치적 조언자로) 신라하대: 진골귀족 사이에서 왕위 쟁탈전 => 중앙정부 통제 약화 => 경덕왕 때 녹읍 부활로 귀족들의 경제 확대 => 농민 몰락 (원종, 애노의 난 등 민란 발생) => 반정부적 신흥세력(호족) 등장 3. 생활상 -금성(경주) or 5소경에 거주 - 35개의 금입택과 4절유택 .. 2022. 11. 6. 공무원시험 한국사 요약정리 5. 고대 국가의 사회(삼국) 1. 고대국가의 사회 1. 사회계층과 신분제도 -정복전쟁으로 철제무기 사용 활발 => 군장 사회 통합 계기 => 지배층 위계서열 => 신분제 발전 -초기 부여, 고구려, 삼한 사회 +호민, 민, 하호 가(전투주도) / 호민(경제적 부유층) / 하호(전쟁물자운반, 실제 전투 x) / 노비(천민, 최하층) 2. 신분제 구성 (삼국시대 이후 강한 법적 구속력 가짐) 1.귀족: 군장 세력=> 중앙귀족으로 재편성 => 정치. 사회. 경제적 특권 독점 (율령 제정으로 신분 고착화) => 친족의 사회적 지위에 따라 결정 (근거: 수산리고분벽화 - 신분 귀천에 따라 인물 크기가 다르게 묘사) 2. 평민: 대부분 농민 => 조세 납부, 노동력 징발 => 정치적, 사회적 많은 제약 3. 천민: 대부분 노비(전쟁노비, 채무.. 2022. 11. 5.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