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고대국가3

공무원시험 한국사 요약정리4. 고대국가 성립7 (통치조직 정비) 1. 고대 국가의 정치 조적 삼국 초기 정치 -중앙 지배 집단: 고구려 백제의 5부, 신라 6부 -독자 세력 유지: 각 부는 중앙 왕실에 예속, 각 부 귀족들은 각자 영역을 독자적으로 관리 -귀족 합의체: 국가 중대사는 각 귀족들이 회의 (ex 고구려-제가 회의, 백제-정사암 회의, 신라-화백회의) => 왕권 견제 역할 중앙집권체제 형성 -왕권 강화: 왕위세습, 율령 반포 => 국왕 중심 -관등제 정비: 중앙&지방관제 정비 =>각 부 귀족과 관리들이 왕의 신하로 편입 -행정구역정비: 부족적 성격=> 행정적 성격으로 변화 2. 고대 국가의 중앙 관제 정비 *신분제에 의해 제약 받음 고구려 -10여 관등 (대대로-태대형-대형-소형-의후사-오졸-태대사자-대사자-소사자-욕사-예속-선인-욕살) (~형:연장자. 군.. 2022. 11. 2.
공무원시험 한국사 요약정리 4. 고대국가 성립4 (삼국통일, 삼국 간 항쟁 및 대외관계) 삼국통일 원인: 나. 당 전쟁 + 당은 백제에 웅진도독부(660), 경주에 계림 도독부(663), 고구려에 안동도호부(668) 설치 결과: 1. 신라는 백제,+고구려 유민과 당 공격, 고구려 부흥운동 지원 -고구려 부흥운동(실패): 신라는 안승을 '고구려 왕'에 봉함, 안승은 검모잠을 배신하고 처단 => 신라의 백제 장악 안승은 '보덕국왕'에 임명, 후에 신문왕이 경주로 이주, 신라 관등의 제3등 소판을 주고 김 씨 성을 하사하면서 신라에 편입 - 소부리주 설치: 사비성에 진격해 '소부리주'를 설치해 아찬, 진왕을 도독으로 임명 나,당 전쟁의 전개 1. 671년: 신라 장군 죽지가 부여 가림성 공격 (나,당전쟁의 본격적인 전개) 2. 672년: 당의 대군을 동원해 황해도 서흥에서 신라 공격 3. 675년.. 2022. 10. 31.
공무원시험 한국사 요약정리 4. 고대국가 성립2 (신라,가야) 3. 신라 (토착세력의 유이민 흡수, 통합) -초기 국가(연맹 왕국)적 성격 (박, 석, 김 3성이 돌아가며 왕위) - 신라 왕의 칭호 변천 (거서간 - 차차웅 - 이사금 - 마립간 - 왕) - 내물 마립간부터 김 씨가 왕위 세습권 독점 - 6부 개편하여 왕권 전제화 추진 (1) 내물왕 4세기 후반 (356-402) +진한 지역 대부분 차지 +왕권강화 (김 씨가 왕위 세습(형제 상속), 마립간(대군장) 칭호 사용) +전진과 수교 +왜구 침입으로 고구려에 군 요청 후 고구려의 내정간섭받게 됨 (근거: 광개토 대왕릉비, 호우명 그릇) (2) 눌지왕 5세기 전반 (417-458) +나제동맹 체결 (백제 비유왕) +형제상속에서 부자 상속 +불교 전래 (고구려 묵호자에 의해 전래) (3) 자비왕 5세기 중반 (4.. 2022. 10. 27.
반응형